2026 최저임금 인상 확정!
시급·월급·영향까지 총정리
💬 "시급 290원 올랐는데… 마냥 반가울 수 없는 이유"
2026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,320원으로 결정됐습니다.
누군가에게는 기대, 누군가에게는 부담이 되는 이번 인상.
월급은 얼마나 될지, 아르바이트비는 오르는지, 자영업자 부담은 어떻게 될지 지금 바로 정리해드립니다.
📌 목차
✅ 2026 최저임금 인상 확정 내용
적용 시기: 2026년 1월 1일부터
시급: 10,320원 (전년 대비 +290원, +2.9%)
월 환산액: 2,156,880원 (주 40시간 기준, 월 209시간)
💡 결정 배경 알아보기
시급: 10,320원 (전년 대비 +290원, +2.9%)
월 환산액: 2,156,880원 (주 40시간 기준, 월 209시간)
📌 결정의 의미와 배경
-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사정 합의
- 인상률 2.9%: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
- 최저임금위원회: 근로자·사용자·공익위원 각 9명씩, 총 27명
⚠️ 낮은 인상률에도 노사정 합의라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큼
🚀 인상으로 달라지는 것들 보기
💵 최저임금 인상으로 달라지는 것들
| 항목 | 2025년 | 2026년 | 비고 |
|---|---|---|---|
| 시급 | 10,030원 | 10,320원 | +290원 |
| 월급(209시간) | 2,097,270원 | 2,156,880원 | +59,610원 |
| 주휴수당 | 80,240원 | 82,560원 | 8시간 기준 |
| 실업급여 하한액 | 64,192원 | 66,048원 | 하루 기준 |
| 출산휴가급여 등 | 총 48개 제도에 연동 인상 | ||
✅ 최저임금 적용 대상
- 정규직, 비정규직, 아르바이트, 청소년, 외국인 근로자 포함
- 근로자 1명 이상 고용한 모든 사업장 적용
- 업종·직무 구분 없이 동일 적용
🌍 지자체별 생활임금 (2026)
| 지자체 | 생활임금 (시급) |
|---|---|
| 전남도교육청 | 11,740원 |
| 제주도교육청 | 12,110원 |
| 경상북도 | 12,049원 |
| 오산시 | 11,230원 |
| 광양시 | 11,020원 |
| 수원시 | 11,480원 |
⚖️ 자영업자의 고민 vs 근로자의 기대
📉 자영업자·소상공인
- “영업이익보다 인건비가 더 높다”
- 무인 시스템 도입 고려
- 알바 쪼개기·주 15시간 미만 고용
- 원자재·임대료·전기료 상승까지 겹쳐 경영난
📈 아르바이트생·근로자
- “물가 오른 만큼은 오르지 않았다”
- 주휴수당 인상으로 월급 소폭 증가
- “근로시간 줄어드는 게 더 걱정”
- 쪼개기 알바 늘어나 복지 사각지대 우려
제도 개선 요구: 주휴수당 개선, 업종별 차등 적용, 소상공인 위원 비중 확대
💯 자주 묻는 질문 보기
🤔 자주 묻는 질문
Q. 최저임금은 아르바이트에도 적용되나요?
네, 정규직·비정규직·아르바이트 등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Q. 지자체 생활임금과 차이가 있나요?
네, 일부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더 높은 생활임금을 적용합니다.
Q. 주휴수당은 계속 유지되나요?
현재는 유지되지만, 제도 개선 요구가 있어 향후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.
마무리
2026 최저임금은 시급 10,320원, 월 2,156,88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. 이번 인상은 근로자에게는 기대, 자영업자에게는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 앞으로 제도 개선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므로,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 제도의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.
🚀 내 상황에 맞는 최저임금 확인하기
